요양병원에서 지내시는 많은 분들이 욕창의 깊이는 깊지만 전신의 열이 없고 감염되지 않은 상태 일 것입니다.
위의 도표를 따라가보면
3기 혹은 4기 욕창에서 죽은 조직 없을 경우에는 메디폼 (폼드레싱)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4일 동안 호전이 없다면
욕창 상처 감염을 의심하기 때문에 항생제 연고를 바르고 메디폼 드레싱 (습윤드레싱, 폼드레싱) 을 유지합니다.
계속 호전이 없다면 전신감염 (sepsis)를 의심하기 때문에 조직배양을 시행하고 골수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제는 항생제 연고가 아니라 경구 항생제나 정맥으로 항생제가 투여됩니다.
습윤 드레싱은 유지합니다.
정리하면,
단순 메디폼 드레싱으로 욕창이 호전이 있다면 계속 드레싱을 유지하면 되지만
2주간의 기간에도 호전이 없다면 감염을 의심하고 이에 적절하게 대응해야
욕창이 치료될 수 있습니다.
글.영상판독사
출처
'성형외과 > 의학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미어 프로틴 카페라떼맛, 단백질 드링크 후기 (protein, premier protein) (0) | 2020.06.23 |
---|---|
심부정맥혈전증 예방, 공기압력기구 (deep vein thrombosis, pneumatic compression device) (1) | 2020.06.20 |
복부성형술 (복부거상술) 의 역사 (abdominoplasty) (0) | 2020.06.16 |
노화되면 피부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skin aging (0) | 2020.06.15 |
복부성형술 (abdominoplasty) 수술 방법 선택, 미니복부성형 전체복부성형 (0) | 2020.06.13 |